거짓말과 공상허언증(Pseudologia Fantastica) > 심리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심리칼럼

거짓말과 공상허언증(Pseudologia Fantastica)

페이지 정보

트로관리자 23-01-25 22:21 조회 2,467회 댓글 0건

본문

모든 병적 거짓말쟁이는 자신을 거짓말 꾸미고 흥미로운 것을 말하며 자아 동기가 항상 존재한다는 목적이 있습니다. 그들은 모두 자신이 소유하거나 되고 싶은 것에 대해 거짓말을 합니다.(Healy & Healy, 1915, p. 16) 즉, 자신이 만들어 놓은 거짓말을 그대로 사실로 믿는 정신적 증후근이라는 것입니다.


거짓말은 사람이 해롭거나 불편한 결과를 피하기 위해 속이려고 하는 일반적인 인간의 본능적 현상입니다. 거짓말의 병리학적 형태인 공상허언증(pseudologia fantastica)에서 환자는 고통스러운 결과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내적인 보상이나 만족을 얻기 위해 거짓말을 합니다.


1891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 안톤 델브뤼크 (Anton Delbrük)가 처음으로 기술한 공상허언증은 뚜렷한 정신장애와 성격장애의 증상으로 개념화되었습니다. DSM-5는 이 증후군을 자기애적, 반사회적, 조직적 특성 또는 파벌 장애의 한 형태로 간주합니다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심리치료사나 정신과 의사가 평범한 거짓말을 감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지만, 공상허언증은 특별한 거짓말 감지 기술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 맥락에서 말하는 거짓말은 종종 이상하거나 환상적이거나 심지어 불가능합니다.


어떤 환자는 수년 동안 가장 부유한 미국인의 포브스 400 명단에 올라왔다고 말했던 적이 있습니다만, 이는 인터넷 검색으로 쉽게 반증되는 거짓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오래된 노숙자 환자가 수학과 물리학 교수라고 주장하며 National Football League에서 초안을 작성했으며, 그동안 여러 가족을 잃은 응급실 사례를 설명합니다. 이 모든 주장은 인터넷에 있는 기본 정보를 통해 반증되었습니다.


85d306a0663b29d7669caa3ccfb889e1_1674652824_5197.png



1. 정신역학 이론


폴란드 계 미국인의 정신 분석가인 Helene Deutsch는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자율성을 개발하며 타인의 감정을 조장하려는 무의식적인 시도로 환상의 가설을 개념화했습니다. 심리 역학적으로 거짓말은 고통스러운 감정에 대한 원시적인 방어 메커니즘을 반영하고 현실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소원을 성취할 수 있는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사하게, 정신 분석가 Charles Dithrich는 사이비로지아 판타지아에서 말한 공상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거짓말이 갈등에도 불구하고 충분히 좋은 자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제안했습니다. 종종 거짓말은 환자를 영웅, 챔피언 또는 피해자로 제시합니다. 이것은 환자가 자신의 마음에 자신의 그림을 밝게 하는 역할을 하면서 청취자의 관심과 감탄을 불러일으키려는 환자의 무의식적인 시도를 반영합니다.


환자의 거짓말에 대한 믿음의 정도는 종종 백일몽과 망상 사이의 중간 지점에 존재합니다. 개념적으로 환자의 공상적인 이야기는 판타지와 유사하여 자존감을 높이고 유지하려는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킵니다. 이런 이유로 Deutsch는 공상허언증을 "환상적인 거짓말"로, "현실로 전달된 백일몽"이라고 했습니다.


공상허언증 환자는 거짓말에 대한 이러한 심리적 동기(예 : 소원 성취의 한 형태로 자존감 향상 등)를 거의 인정하지 않습니다.



2. 공상허언증의 치료


정신 요법은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약리학적 개입은 성공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동반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심리치료의 특정 방법은 주로 거짓말의 진단적 맥락과 근본적인 또는 동반적 정신 병리에 달려 있습니다.


이 질환의 무의식적 특성으로 인해, 의사의 심리 치료에서 자주 직면하는 문제는 환자가 진실을 말하는 데 어려움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심리 치료사는 환자의 이야기의 진실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듣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 비판적인 입장은 그 자체로 거짓말을 할 필요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자아감이 발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Ogden, 2004 참조).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전체 85건 1 페이지
  • 트로관리자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자가 치료: 효과와 실천 방안 1. 서론인지행동치료(CBT)는 정신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
    작성일 2025-01-20 조회 682
  • 트로관리자
    책 도파민네이션(Dopamine Nation) 요약 정…
    책 도파민네이션(Dopamine Nation) 요약 정리도파민네이션(Dopamine Nation)은 스탠퍼드 대학 정신의학과 교수이자 중독 전문가인 애나 렘키(Anna Lembke…
    작성일 2025-01-20 조회 878
  • 트로관리자
    불안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저지를 수 있는 4가지 실수
    불안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저지를 수 있는 4가지 실수불안감을 개선하기로 결심했다면, 당신이 그것을 악화시키고 있지는 않는지 확인하라.누가 불안을 느끼는 것을 좋아하겠는가?불행하게…
    작성일 2023-12-22 조회 2356
  • 트로관리자
    심리학에 근거하여 헤어진 연인들의 이별 극복 방법
    이별은 우리의 정신에 꽤나 거친 방식으로 타격을 준다. 물론 상대방이 잘못한 것으로 인해 헤어진 경우 상대방을 탓하며 불평불만을 쏟아내면서 스스로 위로할 수 있지만, 그래도 한때 …
    작성일 2023-03-03 조회 3177
  • 트로관리자
    MBTI의 뜻, 역사, 신뢰성, 비판에 대하여
    MBTI의 뜻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진로 상담, 리더십 개발, 팀 구성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성격 평가 도구이다. 20세기 중반…
    작성일 2023-02-15 조회 2521
  • 트로관리자
    소시오패스에 대하여
    소시오패스(Sociopath)는 반사회적 행동 패턴을 갖고 있고, 공감 능력이 결여되어 있으며, 도덕적 양심이 결여된 개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소시오패스 또…
    작성일 2023-02-06 조회 1636
  • 트로관리자
    나르시시스트의 자기애적 후버링(Narcissistic …
    자기애적 후버링은 자기애적 성격 장애가 있는 개인(나르시시트)이 일정 기간 이탈하거나 분리된 후 희생자를 되돌리기 위해 사용하는 전술이다. "후버링(Hoovering)"이라는 용어…
    작성일 2023-02-05 조회 7147
  • 트로관리자
    진화 심리학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진화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의 진화를 조사하는 연구 분야이다. 문제를 해결하고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마음이 환경에 어떻게 적응했는지 설명하려고 한다.최근 몇 …
    작성일 2023-02-05 조회 2431
  • 트로관리자
    돈 없이 행복할 수 있을까?
     예, 돈 없이도 행복할 수 있습니다. 행복은 마음의 상태이며 관계, 개인적 성장, 자기 수용 및 만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돈은 일시적인 즐거움을 줄 …
    작성일 2023-02-04 조회 1595
  • 트로관리자
    나르시시스트들이 하는 말, 대화, 언어
    나르시시스트들이 하는 말, 대화, 언어에는 어떤 뜻이 내포되어 있을까? 그것의 실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나르시시스트들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의사소통을 하는 경향이…
    작성일 2023-01-27 조회 2423
  • 트로관리자
    ADHD 아이의 TV, 영상 비디오 시청에 대한 걱정
     부모들이 ADHD를 앓고 있는 자녀들을 위해 어떻게 그리고 왜 더 많은 시간을 온라인으로 허용해야 하는가.​"하루 종일 TV와 비디오 앞에 앉아 있다." 코로나…
    작성일 2023-01-26 조회 2239
  • 트로관리자
    '나쁜 남자' 친구로부터 벗어나는 법
     당신이 나쁜 남자, 나쁜 남자친구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가 있는가?우리는 나쁜 남자의 의식구조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해한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그들에게 권력…
    작성일 2023-01-26 조회 1993
Copyright © Trustpost.kr - 트러스트포스트 All rights reserved.